분류 전체보기 38

전세사기 피하는 법은 없다 (feat. 뛰는 놈 위에 나는 놈)

최근에 전세 사기 피하는 방법에 관해 글을 적어었다. 결과론적으로 나의 글이 정글에서는 통하지 않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1.부기등기 확인 2.건축물대장확인 3.전세보증보험 가입 사과한다. 이 방법들이 사기꾼들에게는 얼마나 웃겼을까 싶다. 최근에 어떻게 부동산 전세사기가 진행 되는지 기사를 보고 느꼈다. '뛰는 놈 위에 나는 놈이 있구나' 이렇게 말하고 싶다. 똥을 피하자. 1똥: 위험 지역은 일단 피하자. 여기는 맹수들이 살고 있다. 벗어나자 2똥: 위험지역에서 신축 빌라, 신축 다세대, 신축 오피스텔은 피하자. 3똥: 사기 사례를 읽어보자 https://www.hankookilbo.com/News/Read/A2022073111120001931?did=NA [단독] "입주 시 이사비 1500만원 지급"...

등록임대사업자가 놓치는 보증보험 사례 (feat. 전세 안심 대출)

임차인이 전세안심대출을 받으면서, 보증보험을 가입했다는 연락을 받았다. 이에 '강낭구' 임대인은 보증보험을 별도로 준비를 안해도 될 것으로 판단했다. 기쁜 마음으로 '표준임대차 계약서'만 가지고 구청에 신고를 하러 간다. 공무원: 임대인님 보증보험 관련 서류는 가지고 오셨어요? 강남구: 아 ~ 이거는 임차인이 전세안심대출로 가입해서 안해도 된다는데요. 공무원: ....임대인님 만약에 그러시면, 임차인이 가입했던 증권하고, 증권 전액 대납 영수증. 그리고 일부만 가입하셨다면 '일부보증가입 동의서'도 가지고 오셔야 해요. 강남구: ........ 정리해 보자. 첫째. 전세안심대출이 보증금의 100%까지 대출이 된다고 치자. 하지만, 전세안심대출 보증보험의 보증 한도는 최대 80%까지만 허용이 된다. 곧, [..

기사로 알아보는 전세 사기 이렇게 시작 된다.(feat. 대응 방법)

오늘자 기사를 보면서 안타까운 마음에 들어 작성한다. 역지사지의 자세로 어떻게 하면 당하지 않았을까 생각해본다. https://www.mk.co.kr/news/society/view/2022/07/646422/?utm_source=naver&utm_medium=newsstand "입주 4개월만에 경매 통보"…아파트 세입자들 `한숨` 인천 미추홀구 아파트 2개동 경매 넘어가…집주인 잠적 www.mk.co.kr 기사 내용을 분석해 보자. 첫째. 정씨는 올해 1월 서울에서 인천으로 직장을 옮기면서 급히 9천만원을 주고 전셋집을 구해 지난 3월께 입주했다. >>> 이성적인 판단력 흐려짐 둘째. 계약 당시 1억4천만원 상당의 근저당권이 잡혀 있었으나, 7년간 사고가 없던 안전한 매물이라는 부동산 중개업자의 말에 ..

불법건축물 보증보험 혼자만 알고 계세요

등록 임대 사업자 중에 특히 '다세대주택(빌라)'에 많은 '불법 건축물'이 있다. 강제 이행금을 매년 내고 있을리라 생각이 든다. 현시점에서 왜 이게 문제가 되는가? 바로 '보증보험' 때문이다. 보증금이 5000만원 이하 일 경우에는 '보증보험 미가입 동의서'와 '표준임대차 계약서'만 제출 하면 신고가 간단하게 마무리 된다. 문제가 되는 경우는 전세보증금이 주택가격의 80~90%이상 차지 하는 계약에서 발생되고 있다. 불법 건축물이 있다면, 보증보험 자체가 가입이 안되기 때문이다. 이는 곧 계약 신고를 할 수 없고, 계약 신고를 할 수 없다면 계약 미신고로 인해 최소 500만원의 과태료 부과 대상자가 된다. 임대인은 졸지에 법 위반자가 되어 버린것이다. 방법은 2가지 이다. 선택은 임대인의 몫 이다. 첫..

자진말소의 기술

현재 말소를 어떻게 할까 고민하고 계신가요? 아래에 해당하는 분이라면 이 글이 도움이 될거라 확신합니다. 첫째. 단기등록임대사업자로 의무기간이 1년여 남은 분 둘째. 장기 8년 아파트 등록임대사업자 최근 윤석열 정부의 양도세 한시적 인하 정책과 종부세 합산베제 부과방식 변경 관련 뉴스를 접하게 됩니다. 이에 계산기를 두들겨 보는 등록임대사업자분들이 있을 겁니다. 매매를 생각하신다면, 말소를 해야겠죠. 말소 안하고 매매를 진행하시면 과태료 3000만원 (각 호당) 부과 됩니다. 그럼 어떻게 과태료를 안 내고 안전하게 말소 할수 있을까요? 첫째. 세입자가 있다면 -> 말소 동의서를 받아야 합니다. 동의를 안 해준다면, -> 여기서는 협상의 기술이 필요합니다. 세입자분이 갈 곳이 없어서 그러는 건지. 이사비용..

깡통전세 피하는 방법

이 글을 클릭했다면, 임차인으로 고민이 있을 것이다. 아래에 한개라도 yes를 외칠수 없다면 당신도 위험에 노출 되고 있다. 1. 내가 계약 한 곳의 등기부 등본을 열람해 보았는가? (근저당,가압류,압류 관련 확인) 2. 건축물 대장을 열람해 보았는가? (위반건축물 확인) 3. 주택가격을 체크해 보았는가? (깡통전세의 척도 확인) 왜 최근 뉴스에서 깡통전세 관련 이야기가 나오는지 아는가? 당신이 똑똑하다면 금리상승과 자산하락을(부동산과 주식) 눈치챘으리라고 본다. 이게 나하고 무슨 상관인데 하시면 상관이 매우 밀접하다. 당신의 전세금은 집주인이 은행에 고이 넣어두지 않았을 것이며 어딘가에 투자가 되었거나, 빚을 갚았거나 등등 사용 했을 확률이 다분하다. 지금처럼 자본시장이 잔뜩 움추러 들었을 때, 집을 ..